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98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카카오게임즈, 카카오 - 카카오 그룹의 미래는? #카카오 #035720 코스피 #카카오뱅크 #323410 코스피 #카카오게임즈 #293490 코스닥 어느덧 그룹이 되어버린 카카오. 벌써 3개의 주력 자회사가 독립 상장을 했습니다. 몇 년 전 다음(Daum)과 합병 당시만 해도 수익성에 대한 비전이 명확하지 않아서 많은 투자자들의 마음을 졸이게 했던 기업이었습니다. 카카오 만약 몇 년 전에 카카오에 장기 투자해서 가지고 있었다면 작년 고점 기준으로 10배의 상승을 했던 종목입니다. 2020년 카카오게임즈가 자회사 중 처음 상장할 때만 해도 문어발 상장에 대한 세간의 이슈는 크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걱정하던 매물을 받고 2021년 더 큰 상승을 해버렸습니다. 증시의 강세장 시기와 잘 맞물렸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2021년 카카오의 최고점 .. 2022. 11. 3.
화천기계 - 상승 테마의 끝은 어디에? feat 슈퍼 개미가 노린 것은 #화천기계 #010660 코스피 #기계 시가 총액 : 약 950억원 주요 주주 : 권영열 외 34.5%, 보아스에셋 외 8%, 자사주 10% 화천기계는 8월 19일 상승이 시작된 테마주입니다. 슈퍼 개미가 대주주와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는 기사와 함께 9% 상승을 시작하면서 테마 상승이 시작되었습니다. 관련 기사들의 내용을 보면, "지난 7월 비상장사인 김성진 보아스에셋 대표는 화천기계 지분 10% 이상을 인수하며 화천기계 감사와 등기임원 7인 전원을 해임하고 본인과 보아스에셋 임원들을 이 자리에 선임하기 위한 임시 주주총회 개최를 승인해 달라며 법원에 경영권 분쟁 소송을 제기했다. 이어 전날에는 화천기계가 보유한 이익잉여금 1034억 원 가운데 693억 원(1주당 3500원)을 배당하는 안건으로 임.. 2022. 11. 3.
효성중공업 - 효성 그룹의 미래 feat 효성첨단소재, 효성티앤씨 #효성중공업 #298040 코스피 효성 그룹은 삼성 이병철 창업주 회장과 함께 삼성물산으로 사업을 시작하였으나 이후 효성 물산으로 독립한 회사로 섬유, 피혁과 함께 중공업 분야를 운영하고 있는 대기업 입니다. 창업자 조홍제 회장에 이어 장남 조석래 회장이 효성중공업을 이어 받았고 외환 위기 직후 그룹을 개편해서 변화를 이루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섬유, 중공업, 화학, 무역, 건설, IT, 산업재 등 여러가지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상장된 주요 계열사로는 효성중공업, 효성첨단소재, 효성티앤씨, 효성화학, 효성ITX, 효성(지주사)가 있습니다. 간단히 주요 상장사 별로 사업 분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보통신분야인 효성ITX와 지주사는 제외) 효성티앤씨 - 섬유(스판덱스, 폴리에스터, 직물, 풍력 .. 2022. 10. 31.
AK홀딩스, 제주항공, 애경산업, 애경케미칼 - 애경 그룹의 운명은 어떻게? #AK홀딩스 006840 #제주항공 089590 #애경케미칼 161000 #애경산업 018250 애경 그룹 우리에게는 생필품과 백화점으로 유명한 기업입니다. 제주 항공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기업의 사업 영역을 확장해나가는 도중 아쉽게도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항공편들은 급격히 감소하고 백화점도 영업에 제한을 받아 적자를 보았습니다. 항공업은 아직도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중국의 한한령으로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 열풍이 식으면서 화장품 시장 또한 타격을 받고 있는 말 그대로 사면초가의 상태입니다. 다만 화학 계열의 애경케미칼이 견조한 실적을 보이면서 겨우 살림을 책임지고 있는 형국입니다. 애경 그룹은 과연 기사 회생 할 수 있을지 아니면 이대로 서서히 무너져 내릴지 궁금합니다. 그래서 .. 2022. 10. 29.
유니드 - 탄소 중립 수혜주 vs 지배 구조 리스크 #유니드 #014830 코스피 #화학 시가 총액 6,800억 원 주요 주주 : 유니드글로벌상사 외 45.4%, 국민연금 11.3%, 자사주 1.7% 유니드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개인투자자들이 수년간 투자했다가 낭패를 보았던 기업입니다. 월봉 차트에서 알 수 있듯이 거의 5년간 주가가 횡보했었습니다. 그동안 타 회사들은 주가가 견조하게 상승했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유동성 위기인 2020년 3월에는 최저점 29,000원을 찍기도 했습니다. 평균적으로 5만원 내외의 주가로 장기 횡보하던 기업의 주가는 2021년 CCUS(탄소포집기술) 테마 이슈로 단기간에 159,000원의 고점을 찍습니다. 수십개월의 횡보와 9개월만에 4배에 달하는 상승을 보여준 2021년의 주식장은 정말 불장이었습니다. 그때 수많은 개인투자.. 2022. 10. 28.
50개의 사례로 보는 딥 차이나 Deep China #투자자 추천 도서 #50개의 사례로 보는 딥 차이나 Deep China #박승찬 지음 중국 사업을 준비하거나 중국에서 제품 판매를 하려는 사람들이 꼭 읽어야 할 책 중국 투자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관련 서적을 자주 찾아보곤 한다. 오늘은 중국에 대해서 시야를 넓혀준 고마운 책 한권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은 중국에서 30년 넘게 오랫동안 회사의 진출과 사업을 지원해 온 저자의 경험과 지식이 녹아있는 책이다. 저자 박승찬은 '차이나는 차이나'로 유명세를 얻었고 깊은 식견으로 여러 회사들의 성공적 중국 진출을 도왔다. 현재도 관련 업무를 하며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처음 읽을 때는 가벼운 교양 수준을 기대하고 책을 펼쳤는데 읽다보니 아주 내용이 깊고 유용한 책이었다. 한 장 한 장 깊은 경험과 지식이 담겨있어서.. 2022. 10. 28.
맥쿼리인프라 vs 국채 투자 - 안전 지대로의 피신이 필요할까? #맥쿼리인프라 #088980 코스피 맥쿼리인프라. 우량 배당주 장기 투자를 하는 투자자라면 모두 들어봤을 종목입니다. 정치권과의 유착 의혹과 수혜로도 뉴스와 국정 감사에 자주 등장했던 종목이기도 합니다. 그럼 이 회사는 어떤 사업을 하는 회사일까? 궁금해집니다. 맥쿼리 자산운용에서 2002년 12월 만든 맥쿼리인프라는 기관 투자자, 개인투자자의 자금을 모아 도로, 교량, 터널, 항만 등 사회 간접 시설(인프라 구축)에 투자합니다. 이러한 인프라에서 발생되는 통행료와 정부 보조금 등을 주된 수익원으로 삼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시기에도 비례해서 통행료 등을 인상될 수 있어 인플레 헤지 상품으로 투자자들에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저금리 시대에는 우량한 고배당주로도 유명한 회사이며 국내 인프라 펀드로는 최초로 상장.. 2022. 10. 26.
넷제로 에너지 전쟁 - 2050년 탄소 중립을 현실화하는 에너지 대전환의 서막 그리고 새로운 기회들 #주식투자자 추천 도서 #넷제로 에너지 전쟁 2050년 탄소 중립을 현실화하는 에너지 대전환의 서막 그리고 새로운 기회들 - 저자 정철균, 최중혁, 정혜원 님 오늘은 읽으면서 많은 것을 배운 좋은 책을 한권 리뷰해보고자 한다. 지식을 주는 책은 늘 감사하다. 지은이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다. 지금은 에너지 전쟁의 시대이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무력 침공하는 상황에서도 유럽과 여러 국가들은 러시아로부터의 석유와 천연가스의 수입을 전면 중단하지 못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를 오히려 무기로 삼으며 최강대국인 미국 또한 에너지 안보를 말하며 타 국가들을 미국의 통제 아래 두고 패권을 유지하려고 한다. 이 책은 에너지 분야의 전문가와 관련 분야 애널리스트, 실리콘 밸리의 스타트업 전문 투자가가 모여서 만든 책이다. 팬데믹과 전쟁.. 2022. 10. 21.
원전 관련주 분석 - #일진파워 #우진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 관련주 - 다시 살아나는 분위기?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코스피 #우진 #105840 코스피 #일진파워 #094820 코스닥 오늘은 오랜만에 원자력 발전 관련주들이 대거 상승을 했습니다. 신재생 에너지는 미래 사업 중에서 가장 유망한 분야이고 저도 관심이 많습니다. 가장 유명한 테슬라는 종합 에너지 그룹으로 성장하고 있고 많은 서학 개미 투자자들이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기차, 태양광, ESS, 위성통신, 우주항공까지 대단한 회사인 것 같습니다. 늘 도전과 혁신은 큰 수익을 안겨 주는 것 같습니다. 원자력 발전은 몇년간 전 세계적 에너지 안정과 평화 분위기로 많이 죽었던 섹터입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도 큰 몫을 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분위기가 많이 바뀌.. 2022. 10.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