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노트 #377740 #동물용진단키트 #에스디바이오센서 #유바이오로직스 #코로나관련주 #진단키트관련주 #바이오노트보호예수해제
코로나 특수 상황에서 큰 폭의 매출 신장과 이익을 거둔 바이오노트
보호예수 물량의 해제로 하락하던 주가는 변곡점을 맞이할 수 있을까?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신기술이 접목된 신제품 개발에 박차
■ 회사 소개
동물용 질병 진단키트 및 장비 제조사
2003년 에이젠으로 설립, 이후 에니젠, 에니멀제네틱스, 바이오노트로 사명 변경
2022년 12월 코스피 상장
※ 중소기업기본법에 의한 중소기업, 벤처기업에 해당
시가총액 : 6805억원(2023.3.22)
주요주주 : 조영식 외 10인 67.32%, 인터베스트 외 2인 11.64%
대표이사 : 조병기
☞ 조병기 대표는 에스디바이오센서 조영식 회장의 후배이자 오랜 동료로 과거 적대적 M&A로 결별했다가 다시 합류. 서울대 수의학과를 졸업한 조병기 대표는 SD 시절 연구개발을 총괄하던 연구소장으로 재임하였으며 한국애보트진단 대표로 재직한 이력이 있음
코로나 진단키트로 유명한 에스디바이오센서(SD바이오센서)의 전신은 코스닥 상장사였던 에스디(SD)로 진단시약업체.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었지만 이를 견제하던 미국의 제약사 엘리어(현재 거대기업 에보트에 피인수되었음)에게 적대적 인수를 당함
이후 자금난을 겪던 엘리어가 SD의 사업부문 일부를(현 SD바이오센서) 2011년 조영식 회장과 임직원들에게 매각, 조영식 회장은 이를 다시 성장시켜 상장 하였음
※ 향후 에스디바이오센서는 건강관리 종합 솔루션 기업으로 전개하고 바이오노트는 인간 및 동물 질병진단 전문기업으로 전개할 가능성이 높아보임
연결대상 회사는 바이오노트(미국), 상하이 로히 바이오테크롤로지(중국) 2개사가 있음
계열회사로는 코스피 상장사 에스디바이오센서, 코넥스 상장사 유엑스엔을 비롯해 비상장사 16개가 있음
타법인 출자현황으로 사업관련, 신기술 확보, 신제품 개발, 벤처 육성을 위해 12개사에 지분투자를 하였음
※ 이중 에스디바이오센서(코스피), 파마리서치바이오(코넥스)와 유바이오로직스(코스닥)는 상장사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삼성1로 4길 22
전화번호 : 031-211-0516
홈페이지 : http://www.bionote.co.kr
■ 사업 내용
유전자 재조합 항원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진단시약 제품을 공급
체외진단 산업 중 면역화학진단, 현장진단(POCT), 효소면역진단(ELISA) 사업에 주력
형광면역진단 브랜드인 Vcheck, 동물용 신속진단 브랜드인 BIONOTE Rapid, 인체용 신속진단 브랜드인 NowCheck 제품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 임상평가, 시장개척을 진행
BIONOTE Rapid는 동물용 신속면역진단 브랜드로,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매개성 전염병 등 반려동물(개, 고양이)과 산업동물(소, 돼지, 가금류 등)의 질병 약 60여 종류를 진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을 보유
현장(동물병원, 농장 등)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검체(분변, 안구분비물, 전혈, 혈청, 혈장)로 항원과 항체를 검사할 수 있는 제품으로 15~20분 이내에 육안으로 질병의 유무를 신속하게 검사 가능
검사법이 단순하여 초보자도 누구나 쉽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음
또한 모든 키트의 구성품은 실온보관이 가능한 일회용 제품으로 안정적으로 보관이 가능하고 편리하게 사용 가능
대표적 제품으로는 동물병원에서 사용하는 개 심장사장충 항원 진단 키트, 고양이 백혈병 항원/면역 결핍증 항체 진단 키트, 국가 방역에 사용하는 조류인플루엔자 항원 진단 키트 등이 있음
COVID-19이 지속되며 관련 제품 수요가 폭증함에 따라 자체적으로 인체용 제품 브랜드인 NowCheck을 런칭
주요 거래처는 대리점, 관계회사, 그 외 국제기구 또는 각 국가MOH(보건복지부) 등
핵심 연구 기술을 바탕으로 분자진단 및 생화학 진단에도 영역을 넓혀갈 예정이며, 동물 진단 시약뿐만 아니라, 인체 체외진단 시약 등에 사용하는 반제품, 원료(항원, 항체, Enzyme)등 바이오컨텐츠(Bio-Contents)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충할 계획
코로나 특수 효과로 크게 상승하였던 매출액이 감소 추세
☞ 향후 코로나 진정세로 이 부분 매출을 제외한다면 매출액이 크게 감소할 가능성이 높음
국내 생산설비는 경기도 화성시에 보유
☞ 위의 사유로 공장 가동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음
※ 2022년 분야별 19~73% 수준(2020년 35~97% 수준)
바이오 컨텐츠(Bio-contents)
연구개발과 제조경험을 바탕으로 인체 및 동물 체외진단 등에 사용되는 원료(항원, 항체, Enzyme)와 반제품을 독자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바이오컨텐츠 기업으로 성장하며 고품질의 원료와 반제품을 본격 사업화 함으로써 글로벌 체외진단기업 및 주요 국가정부기관과의 전략적 파트너쉽을 통하여 글로벌 체외진단원료분야로 시장을 확대할 예정
미국 체외진단 시장 진출
시장 내 최대 비중을 차지하는 북미 진출을 위해 2019년 미국 지사 설립
현재 미국 내 주요 동물 의약품 유통업체와 파트너쉽 체결을 추진
대형 체인 동물병원 및 수의진단 랩 영업을 통해 미국 시장 내 유통망을 지속적으로 확장
동물용 백신 추가 개발
다년간의 체외진단 컨텐츠 개발을 통해 유전자 재조합 항원 등을 자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춤
진단키트 제조를 위해 개발된 항원은 향후 백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해 백신 개발 관련 시험 및 생산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업체와 계약하에 프로젝트를 진행
동물용 제품의 경우, 미국 농무부(USDA), 일본 농림수산성(MAFF), 세계동물보건기구(OIE) 등의 인증이 중요
인체용 반제품 추가 개발
과학 학술지 '네이처'의 연구자 대상 설문 및 기타 연구결과에 따르면 COVID-19는 백신 보급 등에도 불구하고 계절성 질환으로 정착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매년 반복적인 진단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
이에 따라 COVID-19와 증상이 유사한 인플루엔자 등 복수의 풍토병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반제품에 대한 수요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
인체용 제품의 경우 미국 FDA 및 유럽 CE 등의 인허가가 필요
연구개발비(R&D) 비율은 매출액 대비 3.36%로 점차 비중을 높이고 있음(연결 기준)
■ 투자자 지표
연결기준 2022년 매출액 4796억원, 영업이익 2954억원, 당기순이익 3077억원(지배주주 순이익)
주당순이익(EPS) : 약 3264원(현재 주가 : 6680원)
추정 PER 약 2배, PBR 약 0.35배 *2023. 3. 22
☞ 상장 이후 현재까지 주가 약세 국면
배당금 : 2020년 8544원, 2021년 534원, 2022년 490원 예정(최근 3년)
2020년 배당금은 무상증자 전 2020년 기말 발행주식 기준
자산총계 : 증가, 부채총계 : 감소, 자본총계 : 증가, 이익잉여금 : 증가
☞ 재무적으로 건전한 형태
외국인 비중 : 0.52% (3개월간 약 0.4% 증가)
신용 잔고율 : 0.2%
■ 특이 사항
중국 농업부의 수입규제에 따른 중국시장 축소에 대응하고자 2021년 06월 11일 동물 및 식품 안전진단 사업을 영위하는 중국 Rohi 법인의 지분 100%를 인수
유상증자를 통해 꾸준히 자본금을 확충하였음
2019년 9월 유상증자 (8.0%), 2019년 10월 유상증자 (6.2%)를 실시
2021년 03월 주식발행초과금을 재원으로 1500%의 무상증자를 실시
2022년 12월 상장 관련한 신주발행 유상증자에 따라 보통주 8,320,000주, 자본금 4,160,000,000원이 증가
☞ 투자자들은 에스디바이오센서와의 내부거래 의존도에 주목해야 함
또한 에스디바이오센서와 부분적인 순환출자 구조가 있다는 점을 유의하고 이 부분을 적정주가에 할인해서 계산해야 함
코로나 특수 상황이 종료되면 큰 폭의 실적 감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 리스크
※ 재무제표상으로 80% 이상의 매출과 이익 감소가 예상됨
☞ 신사업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함
중요 이슈
2023년 3월 22일 부터 재무적투자자(FI)의 지분 2023만주(주식 총수의 약 20%)가 보호예수 해제
※ 유통주식의 60%에 달하는 물량으로 시장에 출회된다면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재무적투자자들은 벤처캐피탈인 인터베스트 등으로 현 주가보다 현저히 낮은 가격으로 지분을 취득했기 때문에 차익 실현을 위해 장외시장의 블록딜 매매 가능성이 있음
이들은 주당 1400원대에 취득한 것으로 보임(현재주가 6000원대)
■ 차트 분석(월봉, 주봉, 일봉 차트)
☞ 2022년 12월 상장시 1조원을 돌파한 주가는 이후 지속적인 내림세로 현재 시총 7000억원 수준
☞ 코로나 특수의 종료가 임박함에 따라 향후 기존의 동물진단 영역과 함께 신사업의 확장이 필요한 시점
☞ 주봉상 바닥을 다지고 있는 상황. 하지만 주요주주 지분율이 높기 때문에(79%) 추가적인 매물 출회나 거래 약세도 고려해야 함(보호예수 해제 물량 유의)
☞ 현재 예상되는 올해 실적의 10%를 2023년 실적으로 가정한다면 멀티플 PER 10배 수준의 주가로 저평가
☞ 1만원 부근의 큰 매물대가 존재하는 것은 주가 상승에 저항이 있음
☞ 최근 침체된 주식 시장의 환경속에서도 저평가 영역에 들어갔기 때문에 바닥을 다지는 모습
☞ 하지만 거래량이 동반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급적인 손바뀜은 없는 것으로 보임
☞ 투자자는 코로나와 감염병의 추세, 동물 관련 트렌드를 잘 살펴보면서 투자해야 함
☞ 무엇보다도 재무적투자자들의 보호예수 물량이 시장에서 어떻게 소화되는지 관찰하는 것이 중요
* 위의 정보 중에 실수에 의한 미정확한 수치와 정보가 포함되었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자료는 투자에 대한 권유나 소개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투자에 대한 판단은 신중하게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지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바스AI 108860 AI테마주 챗GPT 열풍으로 거침없이 상승 중 (1) | 2023.03.23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항공, 우주, 방산에 조선까지 큰 그림을 그리는 한화 그룹 (1) | 2023.03.23 |
이수페타시스 007660 챗 GPT 관련주 중에서 아직 덜 오른 종목인가? vs 대주주의 승계와 지배구조에 활용될 기업인가? (0) | 2023.03.22 |
영원무역홀딩스 009970 최대실적 경신했지만 주주환원은 뒷걸음? (0) | 2023.03.21 |
LS Electric 010120 신재생 에너지, 전기차 밸류체인 역량 강화 (0) | 2023.03.21 |